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최근 결혼 예물을 준비하면서 금 시세를 알아보다가 깜짝 놀랐어요.
금시세가 불과 몇 달 전만 해도 저렴했던 18K 반지가, 지금은 30만 원 이상 오른 거 있죠.
금값이 이렇게 올랐는데, 지금 사도 되는 걸까요? 아니면 금시세를 보면서 기다리는 게 나을까요?
오늘은 2025년 4월 4일 기준 최신 시세로 24K와 18K 금값을 정확히 비교해드릴게요.
📌 2025년 4월 4일 기준 금 시세 비교표
구분내가 살 때 (3.75g 기준)내가 팔 때 (3.75g 기준)
24K (순금) | 624,000원 | 528,000원 |
18K 금 | 고시 없음* | 388,100원 |
- * 18K는 세공비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아 매입가만 제공됨
- 18K 금의 실구매가는 매장마다 다르며 보통 시세 + 세공비 형태
✅ 쉽게 시작하는 금 투자 방법 3가지
- 금 통장 개설 (은행 비대면 가능)
👉 실물 없이 1g 단위로 거래 가능, 수수료 저렴 - 금 ETF/ETN 투자 (주식처럼 매매)
👉 KODEX 금선물(H), TIGER 금선물 등 인기 - KRX 금시장 이용 (증권사 HTS/MTS)
👉 실시간 시세 반영, 세금 혜택 有
💡 초보자라면 금 통장부터 시작하고, 여유 자금 생기면 ETF로 분산 투자해보세요!
🌍 국제 정세로 본 금값 상승의 이유
2025년 현재 금 시세가 고공행진 중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
금리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면 금 수요가 급증합니다. - 중동 정세 불안
이란, 예멘, 이스라엘 등 주요 분쟁지역에서 긴장이 높아지며, 안전자산인 금에 투자 수요 집중. - 원달러 환율 상승
환율이 오르면 국내 금값도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. - 중국 경제 둔화
글로벌 불안 요소가 늘어날수록 금은 신뢰 자산으로서 다시 떠오릅니다.
💡 24K vs 18K, 어떤 금을 선택해야 할까?
항목24K 순금18K 금
금 함량 | 99.9% (순금) | 75% (금 + 합금) |
가격(내가 팔 때 기준) | 528,000원 (3.75g) | 388,100원 (3.75g) |
실용성 | 약함, 변형 쉬움 | 강함, 주얼리로 활용 적합 |
환금성 | 매우 높음 | 낮음 (세공비 제외됨) |
세공비 | 거의 없음 | 보통 5만~20만 원 추가 |
주 사용처 | 투자용 금괴, 돌반지, 금통장 등 | 예물 반지, 목걸이, 귀걸이 등 실사용 중심 |
투자용이라면 24K,
예물·패션용이라면 18K가 더 실용적입니다.
📈 최근 6개월간 금 시세 흐름 (내가 살 때 기준)
날짜24K 금 시세변화폭
2024.11.15 | 480,000원 | - |
2024.12.15 | 540,000원 | ▲ 60,000원 |
2025.01.15 | 600,000원 | ▲ 60,000원 |
2025.02.27 | 594,000원 | ▼ 6,000원 |
2025.03.15 | 643,000원 | ▲ 49,000원 |
2025.04.04 | 624,000원 | ▼ 19,000원 |
📌 단기 조정이 있긴 하지만, 전체적으로는 꾸준한 상승세입니다.
🧠 금 사거나 팔기 좋은 타이밍은?
✅ 지금 팔아야 할 경우
- 예전에 금을 사 두신 분이라면 매도 시점을 고려해볼 만합니다.
- 특히 18K 금은 세공비 제외 후 매입가가 낮기 때문에, 매장별 시세를 꼭 비교하세요.
✅ 지금 사야 할 경우
- 결혼, 기념일, 선물용 주얼리라면 5월 이전 구매 추천
- 예물 시즌(4~6월) 지나면 세공비 더 오를 수 있음
- 분할 매수 전략도 유효 (금값 단기 변동 가능성 있음
반응형